2024 | 10 | 03
23.3℃
코스피 2,561.69 31.58(-1.22%)
코스닥 762.13 1.75(-0.23%)
USD$ 1,306.9 -12.7
EUR€ 1,446.2 -27.9
JPY¥ 910.3 -14.3
CNH¥ 186.9 -1.9
BTC 81,926,000 376,000(0.46%)
ETH 3,183,000 95,000(-2.9%)
XRP 702.2 80.1(-10.24%)
BCH 424,050 300(-0.07%)
EOS 623 16.6(-2.6%)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노연홍 제약바이오협회장 내정자, 첫 과제는 美 정책 대응

  • 송고 2023.01.25 14:25 | 수정 2023.01.25 14:25
  • EBN 김남희 기자 (nina@ebn.co.kr)

美 자국 바이오보호주의 행정명령 직면한 노연홍 차기 협회장

업계 "국내 보건복지 정책가 아닌 외교통상 전문가가 풀 난제"

"국내외 네트워크로 해결가능…임기 시작 때 주어진 첫 시험대"

ⓒ픽사베이, 연합뉴스

ⓒ픽사베이, 연합뉴스

자국 보호주의에 초강수를 둔 미국 정부와 맞닥뜨릴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이 새로운 리더십 시험대에 올랐다. 내달 퇴임하는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의 후임으로 내정된 노연홍 김앤장 법률사무소 고문<사진 오른쪽>은 '바이오 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을 발동한 미국 정부의 새 정책을 향후 직면하게 된다,


3월 구체안을 내놓을 미국 정부에 협회는 이미 "우방국에 대한 차별조치가 있어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전달해놨는데 향방이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된다.


25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제22대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으로 노연홍 김앤장 법률사무소 고문이 사실상 내정됐다. 노 고문은 1955년생으로 행정고시 27회로 공직에 입문해 보건복지 정책 수립을 주도해온 인물이다.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본부장과 인구아동정책관을 거쳐 청와대 대통령실 고용복지수석비서관을 지냈다.


또 식품의약품안전청장, 가천대 메디컬캠퍼스 부총장, 건강보험심사평원 약제급여평가위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2019년부터 김앤장 법률사무소 고문으로 활동 중이다. 지난해에는 제20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코로나비상대응특별위원회 위원으로 참여하기도 했다.


보건복지 관련 행정경험이 풍부하고 전문성을 지닌 관료 출신인 만큼 업계는 노 고문은 제약바이오협회업계의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그러면서도 다른 한편으론 미국과 중국 간 통상 마찰이 커지거나 장기화되고, 글로벌 밸류체인 이 재편되면 그 영향이 국내 제약바이오산업 생태계에 불똥이 튈 수 있다는 우려에서 협회의 해외 네트워크 파워가 요구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 정부는 지난해 9월 공표한 '바이오 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 시행에 앞서 각계각층으로부터 의견 수렴을 하고 있다. 우선 미국 정부는 바이오 기술과 제조의 발전을 위해 어떤 연구개발이 필요하고 미 정부는 어떤 지원을 해야 하는지, 자국 내 공급망을 활성화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점과 글로벌 파트너와의 협업 방안 등은 무엇인지 등 24개의 항목에 대해 질의를 밝힌 바 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이 질의에 대한 국내 제약사의 의견을 비롯해 협회 자체적으로 의견서를 제출했다. 협회는 "한국의 제약바이오 분야는 급성장하고 있는 산업으로 최근에는 국내 기업들이 보스턴, 실리콘밸리 등 미국 진출을 구체화하고 있고 일부 기업은 첨단의약품 생산 허브 기지를 미국을 염두하고 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한국은 미국에 필수적인 원료의약품 및 바이오 의약품 원·부자재 공급망 구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면서 미국과 한국 간의 동맹이 필요하다는 뜻을 우회적으로 피력했다.


이어 협회는 "한국은 미국과 80년 이상 혈맹 관계를 유지해 온 우방국으로, 차별조치가 있어선 안 되며 장기적인 글로벌 공급망 안정성이라는 기조에 어긋나서도 안 될 것"이라면서 "한국은 바이오산업 분야에서 우수한 연구·제조 인력이 많을 뿐 아니라, 지난해 세계보건기구(WHO)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로 선정되는 등 인프라 구축도 마련돼 있다"면서 한국의 제약바이오 역량을 강조했다.


업계 일부에서는 새로 협회장으로 선임될 노 고문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있다. 지금의 미중 갈등에서 비롯된 자국 보호주의 기조 속에선 국내 보건복지 정책 전문가가 아닌 외교 통상 전문가가 풀어야 할 난제라는 측면에서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의 바이오 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에 맞대응하기 위한 경제 외교 역량을 극대화하고 시장 다각화 노력을 배가 하는 것 외에 달리 방법이 없다"면서 "한국 내 민간단체인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협회 차원에서 목소리를 내는 것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고 노 고문의 한계를 우려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노 고문이 정부 부처에서 보건복지 정책 수립을 주도해온 인물인 만큼 단순히 민간 전문가라고만 볼 수 없고 그가 동원할 국내외 네트워크로 해당 사안을 풀어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노 고문의 리더십에 기대했다.


앞서 미국 정부의 바이오 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은 바이오 의약품 등에 대해 미국 내 생산과 연구를 강조한 행정명령이다. 미 정부는 자국 내 바이오 생산기반을 구축하는데 10억 달러(한화 1조2350억원)를 투입하고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생산시설을 보호하는 데 2억 달러(한화 2466억원)를 쓰는 등 20억 달러 이상의 예산을 수혈한다. 각계각층의 의견을 취합한 후 미국 정부는 올 3월 께 구체적인 방안을 내놓을 계획이다.


업계 안팎에서는 이같은 미국의 행정명령이 대규모 투자를 통해 중국산업을 견제할 목적이라는 평가도 있고, 삼성바이오로직스와 SK바이오사이언스 등 미국 의약품을 생산하고 있는 국내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와 함께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의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 질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협회 차원이 아니라 정부 부처 차원의 강력한 목소리가 나와야 할 것 같다"면서 "현재 제약바이오협회는 '우방국에 대한 차별조치가 있어서는 안 되고 미국 정부의 전향적인 후속조치 마련을 기대한다'는 부탁조의 제안을 전달한 상태"라고 말했다.


그는 "노연홍 차기 협회장이 미국의 행정명령으로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이 불리해지지 않게 조치하는 것이 이번 임기 시작과 함께 주어진 첫 시험대일 것"이라고 말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561.69 31.58(-1.22)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10.03 21:22

81,926,000

▲ 376,000 (0.46%)

빗썸

10.03 21:22

81,883,000

▲ 322,000 (0.39%)

코빗

10.03 21:22

81,915,000

▲ 389,000 (0.48%)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