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6 | 24
22.7℃
코스피 2,784.26 23.37(-0.83%)
코스닥 852.67 4.84(-0.56%)
USD$ 1391.0 -1.0
EUR€ 1487.5 -2.4
JPY¥ 871.2 -4.7
CNY¥ 190.8 -0.1
BTC 90,713,000 196,000(-0.22%)
ETH 4,914,000 26,000(-0.53%)
XRP 681.5 7.7(-1.12%)
BCH 543,700 14,500(-2.6%)
EOS 802.1 11.3(-1.39%)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금융위, 개인·골목상인 287만명 신용회복 지원…신용점수 31~101점 올라

  • 송고 2024.06.16 12:00 | 수정 2024.06.16 12:00
  • EBN 김남희 기자 (nina@ebn.co.kr)

개인 286.8만명·개인사업자 20.3만에 신용회복 지원

개인신용점수 평균 31점 상승…청년이 크게 혜택 봐

개인사업자 평균 101점 상승…상당수 골목상권 상인

이 결과 2만6천명 신용카드 발급·11만3천명 新대출

시장 인파[제공=연합]

시장 인파[제공=연합]

금융위원회가 개인 298만4000명 중 266만5000명(NICE 평가정보), 개인사업자 31만 중 20만3000(한국평가데이터)이 신용회복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이는 신용회복 지원이 종료되는 지난달 말까지 소액연체금액(2000만원이하)을 전액상환한 개인과 개인사업자에 대한 수치다. 금융위는 앞서 고금리·고물가로 어려움을 겪는 서민·소상공인이 정상적인 경제생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신속 신용회복 지원 조치를 시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로써 연체금액 전액상환자 수가 1월 말 대비 개인은 7.5만명, 개인사업자는 3.9만이 늘어나 이번 신용회복 지원 조치가 소액채무를 갚는 것을 독려하는 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금융위는 풀이했다.


[제공=금융위]

[제공=금융위]

금융위에 따르면 신용회복 지원받은 개인의 연령대별 비중은 40대 22.7%, 60대 이상 21.2%, 30대 21.1%,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사업자의 업종비중은 도·소매업이 30.0%로 가장 많았으며, 숙박·음식점업 25.8%, 수리 등 서비스업 11.0% 등 주로 골목상권에서 많은 혜택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개인의 경우 전액상환을 완료한 약 266만5000명의 신용평점이 평균 31점 상승(653점 → 684점)한 것으로 조사됐다. 신용회복지원 대상의 신용평점이 20대 이하의 경우 40점, 30대의 경우 32점이 상승하여 이번 조치가 사회초년생이나 청년의 재기 지원에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신용회복 조치에 따라 신용평점이 상승한 개인들은 보유한 대출을 더 좋은 금리조건으로 변경하거나 신용카드 한도금액 상향이 가능하며 신용카드 발급이나 신규대출도 가능해졌다고 금융위는 설명했다.


이에 따라 지난달 말까지 실제로 2만6000명이 신용카드 발급을 받고 약 11만3천명이 제1금융권에서 신규대출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에도 많은 국민들이 신규 금융거래 체결이나 보유 금융상품을 더 유리한 조건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공=금융위]

[제공=금융위]

개인사업자의 경우 전액상환을 완료한 약 20만3000명의 신용평점이 평균 약 101점 상승(624점→725점)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업종별 상승한 신용평점은 제조업이 104점,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 등이 100점, 수리 등 서비스업이 99점 등 전 업종에 걸쳐 유사한 신용회복 혜택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어 5월말까지 0.8만이 제1금융권에서 개인사업자대출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앞으로도 많은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이 신규 금융거래 체결이나 보유 금융상품을 더 유리한 조건으로 변경 가능할 것으로 금융위는 판단했다.


금융위는 향후에도 성실경영 재창업자에 대해 파산정보 등 불이익한 신용정보의 금융권 공유를 제한하는 신용정보법 시행령 개정(입법예고)을 추진하는 등 고금리·고물가로 어려움을 겪는 서민·소상공인의 금융 접근성 제고를 위한 정책 지원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784.26 23.37(-0.83)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6.24 04:36

90,713,000

▼ 196,000 (0.22%)

빗썸

06.24 04:36

90,587,000

▼ 236,000 (0.26%)

코빗

06.24 04:36

90,590,000

▼ 205,000 (0.23%)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