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6 | 16
29.3℃
코스피 2,758.42 3.53(0.13%)
코스닥 862.19 9.14(-1.05%)
USD$ 1389.0 11.0
EUR€ 1482.6 2.6
JPY¥ 882.8 5.3
CNY¥ 190.9 1.4
BTC 93,904,000 1,000(-0%)
ETH 5,055,000 30,000(0.6%)
XRP 692.5 12.8(1.88%)
BCH 611,300 6,500(1.07%)
EOS 941 6.3(0.67%)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알테오젠, ADC의 SC 제형 개발 가능성↑-유안타

  • 송고 2024.05.23 08:59 | 수정 2024.05.23 16:01
  • EBN 이해선 기자 (sun@ebn.co.kr)

[제공=알테오젠]

[제공=알테오젠]

유안타증권은 알테오젠이 추가적인 기술이전에 따라 기업가치가 계단식으로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ADC의 최초 SC 제형 개발 가능성도 짚었다. 투자의견 및 목표가는 제시하지 않았다.


하현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23일 관련 리포트를 통해 “현재 알테오젠의 가치는 대부분 키트루다SC 미래가치가 반영된 영향”이라며 “키트루다SC의 허가 이후 기술 이전 속도는 빨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알테오젠은 2월말 MSD와의 기존 계약 중 키트루다 파이프라인에 대한 계약을 마일스톤 상향 및 마일스톤 수령 완료 이후 로열티를 수령하는 계약으로 변경했다. 비공개였던 고객사 및 개발 파이프라인이 키트루다로 공식화되면서 주가가 크게 상승했다.


하 연구원은 “키트루다SC는 현재 임상 3상을 진행하고 있다”며 “올해 하반기 임상이 마무리될 예정으로 임상 결과는 내년 초 공개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경쟁 면역 항암제인 티쎈트릭SC가 시판 중이며 옵디보SC의 허가도 진행 중이기 때문에 MSD는 키트루다SC의 임상 결과를 수령한 후 빠르게 허가 신청에 착수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따라서 키트루다SC 출시는 2026년부터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알테오젠도 키트루다SC 판매에 따라 매출 마일스톤을 수령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로열티 전환 시기는 2028~2029년이 될 것으로 추정했다.


ADC에서도 SC 제형 개발이 가능할 지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하 연구원은 “알테오젠은 ADC의 SC 제형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음을 밝혔다”며 “동물 실험을 통해 ADC의 피하주사시 피하 내에서 약물 안정성 및 혈액으로의 약물 전달 등을 확인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ADC는 아직까지 SC 제형으로 개발된 사례가 없으며, ALT-B4를 통한 SC 제형화시 기존 항체에서 확인된 투약 시간 감소, 주입 관련 부작용 감소 외에도 투약 가능한 약물 용량 증가도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그는 “피하 주사는 정맥 주사에 비해서는 혈중 약물 농도 증가 속도가 완만한 편으로 최고 형중 약물 농도(Tmax)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Tmax는 낮추면서도 유효 용량 이상에서 혈중 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면 ADC의 부작용을 개선하는 효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진단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758.42 3.53(0.13)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6.16 16:12

93,904,000

▼ 1,000 (0%)

빗썸

06.16 16:12

93,836,000

▲ 53,000 (0.06%)

코빗

06.16 16:12

93,900,000

▼ 16,000 (0.02%)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