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6 | 17
29.1℃
코스피 2,744.10 14.32(-0.52%)
코스닥 858.96 3.23(-0.37%)
USD$ 1381.5 -7.5
EUR€ 1477.8 -4.8
JPY¥ 877.0 -5.8
CNY¥ 190.0 -0.9
BTC 92,997,000 913,000(-0.97%)
ETH 4,982,000 58,000(-1.15%)
XRP 693 1(-0.14%)
BCH 583,600 26,900(-4.41%)
EOS 883.4 50.8(-5.44%)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부산·청주공항서 발리간다...국토부, 30개 운수권 배분

  • 송고 2024.05.26 12:10 | 수정 2024.05.26 12:11
  • EBN 이승연 기자 (lsy@ebn.co.kr)

LCC 노선, 서남아·중앙아로 확대

“배분받은 항공사의 조기 취항 독려할 것”

발리[출처=픽사베이]

발리[출처=픽사베이]

부산·청주발 발리행 노선이 신설된다.


2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국토부는 항공교통심의위원회에서 30개 노선의 운수권을 11개 국적 항공사에 배분했다. 이중 부산∼발리 노선은 에어부산(주4회)에, 청주∼발리 노선은 티웨이항공(주3회)에 돌아갔다.


그간 발리행 노선은 인천공항에서만 운행돼 지역 주민의 접근성이 낮고 운임도 지나치게 높게 책정된다는 지적이 있었다.


국토부는 이번 운수권 배분을 통해 지역 주민들의 국제선 이용 편의를 높이고 운임도 안정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부산에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로 향하는 하늘길도 새롭게 마련된다. 진에어가 주 4회, 에어부산이 주 3회 운수권을 확보했다.


지방 공항발 몽골 울란바토르행 노선의 운항 횟수도 증가한다.


국토부는 부산∼울란바토르 노선을 진에어(주3회)와 제주항공(주1회)이 추가 운행하고, 기타 지방발 울란바토르 노선을 티웨이항공과 에어로케이가 주3회씩 운항할 수 있도록 했다.


동북아와 동남아를 위주로 운항했던 저비용항공사(LCC)의 노선은 인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등 서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로 확대된다.


이스타항공은 인천∼카자흐스탄 알마티 노선에, 티웨이항공과 제주항공은 한국∼우즈베키스탄 노선에, 티웨이항공은 인천∼뉴델리·뭄바이 노선에 취항할 수 있게 됐다.


국토부는 호주와 포르투갈 등 중장거리 노선에도 기존 운항사 외 LCC를 비롯한 다양한 신규 운항사가 추가돼 운임이 안정화되고 소비자 선택권도 강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744.10 14.32(-0.52)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6.17 17:39

92,997,000

▼ 913,000 (0.97%)

빗썸

06.17 17:39

92,953,000

▼ 883,000 (0.94%)

코빗

06.17 17:39

92,920,000

▼ 963,000 (1.03%)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